1. 강민철 (2014). 집단상담에서의 대인관계 지각 왜곡이 치료적 요인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: 사회관계모형 분석. 서울대학교
대학원 박사학위논문. http://hdl.handle.net/10371/120695
2. 곽현정, 안운경, 한길자, 임명호 (2018).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아동의 정서, 행동에 미치는 임상효과.
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18(12), 54-61. https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07588513
3. 권석만, 서수균 (2002).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. 한국임상심리학회지, 21(2), 487-501.
https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06371010
4. 김은해 (2009). 모래놀이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.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. http://oasis.dcollection.net/jsp/common/DcLoOrgPer.jsp?sItemId=000000360442
5. 김창대, 김수임, 강민철, 김영근 (2012). 대인관계 반향메시지 원형모형 검사 (IMI-C) 의 타당화. 상담학연구,
13(4), 1881-1901. https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08816204
10.15703/kjc.13.4.201208.188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