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민지은(2016), 문화예술기관에서의 문화매개활동 구상을 위한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
-‘성까트르’ 문화매개활동 사례를 중심으로, ⌜예술경영연구⌟, 제40집,
257-284.
2. 박신의(2022), 포스트코로나시대, 예술의 기술융합과 자원 활용, ⌜문화예술경영⌟, 제5집
5호, 1-26.
3. 박신의·장웅조·이민하(2020), 사회적 배제의 인식과 극복으로서의 ‘포용적
문화예술교육’을 위한 시론적 연구, ⌜문화예술경영학연구⌟, 제13권 1호, 9-35. 10.15333/ACM.2020.7.30.9
4. 서우석·양호석(2013), 문화적 박탈감을 통해 살펴본 문화복지 대상 범위 연구,
⌜문화정책논총⌟, 제27집 1호, 165-197.
5. 엄한진(2007), 프랑스 이민통합 모델의 위기와 이민문제의 정치화: 2005년 ‘프랑스 도시외곽지역
소요사태’를 중심으로, ⌜한국사회학⌟, 제41집 3호, 253-286.